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자바14

[백준] [알고리즘 3052번: 나머지] JAVA 나머지 문제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 이다. 예를 들어, 7, 14, 27,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 2, 0, 2이다. 수 10개를 입력받은 뒤, 이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그 다음 서로 다른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부터 열번째 줄 까지 숫자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이 숫자는 1,000보다 작거나 같고, 음이 아닌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42로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 있는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1 2 3 4 5 6 7 8 9 10 예제 출력 1 복사 10 각 수를 42로 나눈 나머지는 1, 2, 3, 4, 5, 6, 7, 8, 9, 10이다. 예제 입력 2 복사 42.. 2022. 7. 8.
[백준] [알고리즘 1110번: 더하기 사이클] JAVA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10 1110번: 더하기 사이클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www.acmicpc.net 문제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26부터 시작한다. 2+6 = 8.. 2022. 7. 2.
프로그래머스 Level -1 코딩테스트 연습문제 [행렬의 덧셈] + 배열의 기초 문제 설명 행렬의 덧셈은 행과 열의 크기가 같은 두 행렬의 같은 행, 같은 열의 값을 서로 더한 결과가 된다. 2개의 행렬 arr1과 arr2를 입력받아, 행렬 덧셈의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시오. 제한 조건 행렬 arr1, arr2의 행과 열의 길이는 500을 넘지 않는다. 예시: Array1 Array2 Result [[1,2],[2,3]] [[3,4],[5,6]] [[4,6],[7,9]]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배열이 무엇인지, 또 2차원 배열은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 먼저 배열은 영어로 Array라고 하며 줄여서 arr라고 쓴다. 배열은 기본적으로 선형 자료구조로 동일한 타입의 연관된 데이터를 연결지어서 메모리에 저장하고 하나의 변수에 관리하며 순서는 0부터 .. 2022. 5. 8.
[Java] 상속이란? + Interface가 뭐고 그거 왜 쓰는건데? 자바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상속인데 상속이란 문자 그대로 부모에게 무언가를 물려받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금수저가 좋은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금수저는 태어날 때부터 금으로된 수저를 물고 태어났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부모가 가진 모든~것을 자식이 갖기에 자식은 본인이 기존 소유하고 있는 것 + 부모의 것을 소유하게 된다. 그리고 상속을 하기 위해서는 extends라는 키워드를 꼭 써줘야 한다. Extend라는 키워드의 뜻은 확장하다, 손 따위를 뻗치다 라는 뜻으로 부모클래스가 더 넓고 포괄적인 개념이고 자식클래스가 좀더 세부적인 디테일을 다룰 때 쓰는데 부모의 것을 사용하기 위해서 extends라는 키워드를 쓰는 것이다. ex) 자식클래스 extends 부모클래스.. 2022. 3. 19.
[Spring] DI가 뭐길래? IOC 는 또 뭐고? <쉬운 개념 정리>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는 휴대기기인 스마트폰. 이 스마트폰의 배터리는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나눌 수 있다. 지금은 일체형이 훨씬 더 보편적인 반면 과거에는 분리형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때는 분리형이었기 때문에 배터리에 문제가 생기면 그 고장 난 배터리만 새 배터리로 갈아끼우면 해결 됐다. 반면 요즘 쓰는 일체형 스마트폰 같은 경우 배터리가 고장 나면 사실상 액정부터 해서 다 바꿔야 한다. 왜냐면 일체형이라는 것은 결국 한몸이라는 뜻이고 분리할 수 없는 사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를 조금 유식한 말로 결합력이 높다고 할 수도 있다. 물론 요즘 배터리가 좋아져서 고장도 거의 안나고 어쩌다 고장 나도 스마트폰을 금방 교체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괜찮지만, 잦은 변경 및 업데이트가 일어나는 개발 세계에.. 2022. 3. 19.
[JAVA] 선언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변수의 타입 (CV,IV,LV) 변수가 선언되는 영역은 두 가지로 나뉜다. 1. 클래스 영역 ------------||------------- 2. 메서드 영역 클래스 영역은 메서드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을 말하고 메서드 영역은 메서드 내에서만 존재하는 영역을 말한다. *메서드: 어떠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 실생활로 빗대자면 우리가 기숙사에 거주하고 있다고 가정 한다면 클래스 영역은 각자의 방을 제외한 모든 곳(편의시설, 식당, 복도, 등등)을 나타내고 메서드 영역은 각자의 방이 되겠다. 그렇다면 클래스 영역에 선언되는 변수와 메서드 영역에 선언되는 변수는 어떤 게 있을까? 클래스 영역: 클래스 변수, 인스턴스 변수 메서드 영역: 지역 변수 클래스 변수와 인스턴스 변수는 클래스 영역(글로벌 영역)에 선언된다는 공통.. 2022. 3. 19.
[JAVA] 인용구 혹은 대화를 표시할 때 쓰는 큰따옴표 사용법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코드를 읽고 실행한다고 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문자열은 큰따옴표를 사용해서 그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그 문자열에서 인용구나 대화를 표시할 때 쓰는 큰따옴표를 중복으로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 컴퓨터는 이 인용구의 큰따옴표를 보고 문자열이 끝났다고 보고 오류를 낸다고 한다. (그러지마)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 슬래쉬가 있다. 한글 키보드에서는 \ 로 표시되기도 한다. 바로 이 역 슬래쉬를 큰따옴표 바로 앞에 적게 되면 그 큰따옴표는 문자열의 시작과 끝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쉽게 말해 인용구나 대화체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큰따옴표가 되는 것이다. 예시: System.out.println(" 아더왕이 그의 기사들에게 말했다 \"귀네비어를.. 2021. 12.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