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01 [Spring] DI가 뭐길래? IOC 는 또 뭐고? <쉬운 개념 정리>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는 휴대기기인 스마트폰. 이 스마트폰의 배터리는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나눌 수 있다. 지금은 일체형이 훨씬 더 보편적인 반면 과거에는 분리형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때는 분리형이었기 때문에 배터리에 문제가 생기면 그 고장 난 배터리만 새 배터리로 갈아끼우면 해결 됐다. 반면 요즘 쓰는 일체형 스마트폰 같은 경우 배터리가 고장 나면 사실상 액정부터 해서 다 바꿔야 한다. 왜냐면 일체형이라는 것은 결국 한몸이라는 뜻이고 분리할 수 없는 사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를 조금 유식한 말로 결합력이 높다고 할 수도 있다. 물론 요즘 배터리가 좋아져서 고장도 거의 안나고 어쩌다 고장 나도 스마트폰을 금방 교체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괜찮지만, 잦은 변경 및 업데이트가 일어나는 개발 세계에.. 2022. 3. 19. [JAVA] 선언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변수의 타입 (CV,IV,LV) 변수가 선언되는 영역은 두 가지로 나뉜다. 1. 클래스 영역 ------------||------------- 2. 메서드 영역 클래스 영역은 메서드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을 말하고 메서드 영역은 메서드 내에서만 존재하는 영역을 말한다. *메서드: 어떠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 실생활로 빗대자면 우리가 기숙사에 거주하고 있다고 가정 한다면 클래스 영역은 각자의 방을 제외한 모든 곳(편의시설, 식당, 복도, 등등)을 나타내고 메서드 영역은 각자의 방이 되겠다. 그렇다면 클래스 영역에 선언되는 변수와 메서드 영역에 선언되는 변수는 어떤 게 있을까? 클래스 영역: 클래스 변수, 인스턴스 변수 메서드 영역: 지역 변수 클래스 변수와 인스턴스 변수는 클래스 영역(글로벌 영역)에 선언된다는 공통.. 2022. 3. 19. [JavaScript] 콜백함수 (CallBack)가 도대체 뭐길래? 앞서 자바스크립트의 작동원리 및 비동기와 동기를 설명하면서 어떤 이유에서인지 실행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코드가 생기고 그래서 그걸 잠시 죽이는 비동기화를 진행하게 되면 아래의 코드가 먼저 실행이 되어서 순서가 꼬일 수 있다고 했다. 이제 그 순서를 꼬이지 않게 하기 위해 프로그래머가 임의로 아래의 코드 또한 비동기화시켜서 임시저장소로 보낼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 어떻게 그게 가능할까? 바로 오늘 설명할 콜백함수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Call Back. 문자 그대로 돌아오라고 부르는 것이다. 집나간집 나간 아들을 향해 "집으로 돌아와~!!!" 해서 집 나간 아들이 집에 다시 돌아온다면 그것이야 말로 콜백이다. 뜬금없이 무슨말인가? 비동기화가 진행되게 되면 코드가 임시저장소로 보내지고 그 코드는 거기서 컴퓨.. 2022. 2. 27. [JavaScript] 코드 인터프리터 작동 원리 및 순서 ( 비동기 vs 동기) 기본적으로 컴퓨터는, 그리고 인터프리터는 작성된 코드를 위에서부터 읽고 순차적으로 코드를 실행시킨다. 즉 위에서 아래로 코드 실행 순서가 정해진다는 뜻이다. 하지만! 특정 코드에서 결과를 얻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면 어떻게 될까? 예를 들어 1분이 걸린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아래 줄의 코드는 전혀 실행되지 않는 병목 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 언제 그럴까? 1. 네트워크 통신 2. 복잡한 계산을 실행하는 코드 3. 타이머를 정해두고 그 시간이 만료되면 코드를 실행하는 함수를 쓴 경우 (예: setTimeout(), setInterval() ) 가 대표적인 케이스이다. 위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고 빨리빨리 실행할 수 있는 것부터 실행하기 위해서 자바스크립트는 비.동.기 방식을 지원한다. 비동기 방식이란? 어.. 2022. 2. 18. [JAVA] 인용구 혹은 대화를 표시할 때 쓰는 큰따옴표 사용법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코드를 읽고 실행한다고 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문자열은 큰따옴표를 사용해서 그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그 문자열에서 인용구나 대화를 표시할 때 쓰는 큰따옴표를 중복으로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 컴퓨터는 이 인용구의 큰따옴표를 보고 문자열이 끝났다고 보고 오류를 낸다고 한다. (그러지마)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 슬래쉬가 있다. 한글 키보드에서는 \ 로 표시되기도 한다. 바로 이 역 슬래쉬를 큰따옴표 바로 앞에 적게 되면 그 큰따옴표는 문자열의 시작과 끝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쉽게 말해 인용구나 대화체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큰따옴표가 되는 것이다. 예시: System.out.println(" 아더왕이 그의 기사들에게 말했다 \"귀네비어를.. 2021. 12. 21. 이전 1 ··· 6 7 8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