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로컬3 로컬에 띄운 내 웹페이지를 외부에서도 접속 가능하게 하는법 (Ngrok) 원래 외부에서 외부망으로 내 로컬 PC에 호스팅하는 애플리케이션 (EX: 웹페이지)에 접속하려면, 내 public ip를 직접 노출하고 포트포워딩 설정 까지 해줘야한다. 그게 아니라면 클라우드 환경에 배포함으로써 이를 대신할 수 있지만초기 구축하는 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고 조금만 잘못해도 과금이 될 수 있다.Ngrok은 이런 번거로움 없이 로컬 서버를 안전하게 https로 바꿔서 인터넷에 올려주는터널링 툴이다. 사용법은 os나 실행/운영환경에 따라 다른데https://ngrok.com/download" data-og-host="ngrok.com" data-og-source-url="https://ngrok.com/download" data-og-url="https://ngrok.com/downl.. 2024. 7. 18. 로컬에 설치한 DB와 도커에 띄워진 APP 연결하기 (Postgres) DB Tool: PgAdmin4https://www.pgadmin.org/download/pgadmin-4-windows/ DownloadpgAdmin 4 (Windows) Download Maintainer: pgAdmin Development Team pgAdmin is available for 64 bit Windows™ 7 SP1 (desktop) or 2008R2 (server) and above, up to v4.30. v5.0 and later are supported on Windows 8 (desktop) or 2012 (server) and above. v7.0 andwww.pgadmin.org DB: Postgreshttps://www.postgresql.org/download/ Po.. 2024. 6. 24. 소소한 팁 -1 포트 번호 없이 localhost 접속하기 정확히는 포트 번호가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것뿐이다. 쉽게 말해 특정 포트 번호로 변경하면 그 포트 번호는 생략이 가능해서 입력하진 않지만 사실 있는 것이다. 그게 어떤 포트이고 어떤걸 설정해야할까? 간단하다. 톰캣이라고 하는 WAS의 포트 번호를 기본 Default 값인 8080에서 80으로 바꿔주면 된다. 그렇게 되면 localhost:8080 대신 localhost 만 입력해도 접속이 가능해진다. 포트가 무엇이고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는 아래 블로그에서 확인하면 된다. https://basemenks.tistory.com/m/263 Port란 무엇인가 1. 포트 포트(port)는 "논리적인 접속장소"이며, 특히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를 사용할 때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2022. 10. 1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