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자 전향 프로젝트

PAT(Personal Access Token)로 HTTPS에 호스팅 된 Gitlab CE 접속하기 + SourceTree 연동

by 샘오리 2024. 7. 11.
728x90
반응형

 

해당 에러를 마주하게 되면 해결해주겠다.

fatal: credential-cache unavailable; no unix socket support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The provided password or token is incorrect or your account has 2FA enabled and you must use a personal access token instead of a password.

 

PAT를 만드는 법은 많은 블로그에도 설명이 되어있다.

가장 간단하게 설명한 블로그의 포스팅을 공유한다.

https://4int.tistory.com/56

 

소스트리(Sourcetree) 깃랩(GitLab) 연동을 위한 토큰 발급 방

소스트리에 깃랩을 연동하기 위한 방법 1. 깃랩에서 token발급받기 : 우측 상단 프로필 > Edit profile > 좌측의 Access Tokens 클릭 2. Access Token 발급 받기 SourceTree에 원격 연결하기 위하여 아래 화면에서 T

4int.tistory.com

 

이제 만들어진 PAT로 Gitlab CE를 접속하려면 해당 토큰으로 접속을 하면 되는데

소스트리가 GUI 이다보니 버전이 바뀌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UI 가 바뀌어서 헷갈릴 수 있다.

먼저 옵션>인증>계정에서 추가를 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이 뜨고 호스팅 서비스를 GitLab CE로 바꾸고 url을 접속한 깃랩의 프로젝트로 바꾼 뒤

 

 

Personal Access Token 새로고침을 통해 ID와 PAT를 입력하면 된다.

 

허나? 막힌다. 왜 막히는지 모르겠다.

방법을 찾다가 아래와 같이 해결했다.

 

저장소>저장소 설정>원격>추가 후

일반적인 방법으로 url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아래 포맷으로 입력해줘야 한다.

 

https://<PAT>@<프로젝트 주소>.git

 

*당연한 말이지만 < > 같은 특수기호는 입력하는게 아니다. 꺽쇠까지 복사해놓고 안된다고 하지 말자.

 

이후 푸쉬나 풀 같은 작업을 하게 되면

ID가 적어놓은 PAT로 들어가게 되고,

password를 묻게 되면 PAT를 다시 입력하면 된다.

 

어렵지 않게 해결이 가능한 것이지만 제대로 정리된 곳이 없고 

추후에 나도 까먹을까봐 정리해놓는바이다.

 

 

728x90
반응형